맨먼스(Man-Month) 왜 알아야 돼?
우선적으로 맨먼스(Man-Month)에 대해 알기 전 언제, 어떻게, 왜 사용되는지에 대한 예를 보며 확인해보겠습니다.
일반 회사에서 재직중인 A는 앱 개발을 위해 IT 업체와 연락해서 비용을 물어보는데 "앱 개발에 2MM이 소요됩니다"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IT 업계에 종사하는 분들이라면 당연히 알고있는 개념이지만 IT업계에서 일하지 않는 분들이라면 "2MM"이 무슨 뜻인지 몰라 검색하는 경우가 있을것입니다. 맨먼스(Man-Month)는 일종의 '공수' 개념입니다.
주로 앱 이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인원들의 노동량(또는 작업량)을 산정하는 단위 중 하나로 비용 산정 시 자주 사용되니 알아두면 좋습니다.
맨먼스(Man-Month) 계산 방법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맨먼스는 공수의 개념이라 하였습니다.
공수란 작업량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정한 작업에 인원수를 노동시간 또는 노동일로 나눈 값 입니다.
작업량은 사람 x 시간으로 계산되며,
맨먼스(Man-Month)는 작업에 참여하는 사람이 1개월(22일,주말제외)동안 100% 효율로 일할 수 있는 작업량을 뜻합니다. 따라서, 1 m/m(1맨먼스)는 한사람이 1개월간 100%의 효율로 일할 시 작업량입니다.
예)
1 m/m = 1사람이 1개월(22)일동안 가능한 작업량
2 m/m = 2사람이 1개월(22)일동안 가능한 작업량
1사람당 최고 m/m는 12 m/m 입니다.
쉽게 말해, 1 m/m는 1개월동안 한사람이 일한다는 뜻입니다.
맨먼스(Man-Month) 활용 사례
맨먼스를 사용하게되면 발주자, 외주업체(IT 업체) 모두에게 편리합니다,. 맨먼스에 대한 개념을 알았다면, 실제 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앱 개발에 5 m/m이 소요되며, IT 업체는 이에 5명의 인원이 투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 경우, 두가지의 방식으로 배분이 가능합니다.
첫번째는, 한사람이 1 m/m씩 5개월동안 5 m/m 작업량을 소화하는 것이고 (5 m/m x 1 사람),
두 번째는, 5명이 1개월 간 5 m/m 작업량을 소화하는 경우입니다 (1 m/m x 5 사람).
이해하기 쉽게 아래 그림으로 같이 확인해보겠습니다.
한사람당 임금이 100만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견적서에는 맨먼스(Man-Month) 외에도 여러가지 고려할 요소들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개발자들의 능력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특급'으로 나누게 되며, 이에따라 임금도 달라지게 됩니다.
이와 같이, 견적서에는 등급. 참여율, 참여 기간, 노임 단가 등의 요소들에 따라 직접인건비가 계산되며, 제경비, 직접경비, 기술료 등등의 추가적인 기타 비용이 발생 가능합니다.
맨먼스는 위와 같은 여러가지 요소들로 인해 각 업체마다 비용이 차이가 있습니다.
이제는 기본적인 맨먼스를 이해하고, 꼼꼼한 비교 후에 좋은 외주업체를 통해 원하는 결과물을 만드시길 바라겠습니다.
'수상한 IT 컨설팅 > IT 컨설팅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적용 SW기술자 평균임금」공표 (0) | 2022.09.20 |
---|